"내 월급에서 왜 이렇게 많이 빠져나갈까?"
"월급 통장을 보면 항상 마음이 아프죠. 회사에서 '연봉 4천만 원'이라고 했는데, 내 통장에는 매달 300만 원도 안 찍히는 이유는 뭘까요?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봉별 실수령액 표, 실수령액 계산기, 그리고 실수령액의 차이를 만드는 공제 항목과 계산 방법을 통해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!"
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 표
2,000만원부터 1억까지 천만원 단위 실수령 표
연봉(만원) | 실수령액(만원) | 월 실수령액(만원) |
2000 | 1549 | 129.1 |
3000 | 2259 | 188.3 |
4000 | 2969.1 | 247.4 |
5000 | 3679.1 | 306.6 |
6000 | 4391.9 | 366 |
7000 | 5104.7 | 425.4 |
8000 | 5817.5 | 484.8 |
9000 | 6530.4 | 544.2 |
10000 | 7248.5 | 604 |
1억부터 10억까지 1억 단위 실수령 표
연봉(억) | 실수령액(만원) | 월 실수령액(만원) |
1 | 7248.5 | 604 |
2 | 13729.6 | 1144.1 |
3 | 19373.3 | 1614.4 |
4 | 24992.3 | 2082.7 |
5 | 30610.3 | 2550.9 |
6 | 34464.8 | 2872.1 |
7 | 38245.8 | 3187.2 |
8 | 42026.8 | 3502.2 |
9 | 45807.8 | 3817.3 |
10 | 49588.8 | 4132.4 |
연봉별 실수령액은 각 연봉 구간별 소득세 누진세율과 건강보험료 등을 정확히 적용해야 합니다. 대한민국의 소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 이를 기준으로 연봉별 실수령액과 월 실수령액을 계산합니다.
2025년 기준 대한민국 소득세율 (누진세율)
과세표준(만원) | 세율 | 누진공제(만원) |
1,200 이하 | 6% | 0 |
1,200~4,600 | 15% | 108 |
4,600~8,800 | 24% | 522 |
8,800~15,000 | 35% | 1,490 |
15,000~30,000 | 38% | 1,940 |
30,000~50,000 | 40% | 2,940 |
50,000 초과 | 42% | 3,940 |
또한 건강보험료, 국민연금 등의 공제 항목도 포함해야 하므로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과세표준 계산: 연봉 - 기본 공제 (400만원 가정)
- 소득세 계산: 누진세율 적용
- 건강보험료: 연봉의 약 6.99%
- 국민연금: 연봉의 약 9% (2025년 기준 상한선 적용 가능)
- 실수령액 계산: 연봉 - (소득세 + 지방소득세 + 건강보험료 + 국민연금)
네이버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방법
- 실수령액 계산기 페이지 접속
- 연봉 또는 월급 입력
- 연봉 또는 월급을 입력하는 칸에 본인의 연봉 또는 월급을 입력하세요.
- 4대 보험 및 소득세 옵션 확인
- 기본적으로 4대 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)과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이 자동 계산됩니다.
- 필요하면 옵션을 조정하여 개인 상황에 맞게 설정하세요 (예: 비과세 항목, 가족 공제 등).
- 결과 확인
- '계산하기' 버튼을 누르면 실수령액과 월 실수령액이 표시됩니다.
- 상세 공제 항목도 함께 제공됩니다.
- 추가 조정
- 비과세 항목이나 가족 수, 기타 소득 공제를 추가로 설정하면 더 정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방법을 통해 간단하게 자신의 실수령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! 😊
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점 간단히 소개
"연봉은 회사가 약속한 1년치 총 급여액입니다. 하지만 이 금액에는 우리가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돈이 포함되어 있죠. 국민연금, 건강보험 같은 공제 항목이 빠져나간 뒤에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'실수령액'이 됩니다."
공제 항목
각 항목의 역할과 차감되는 이유를 간단히 소개합니다.
- 국민연금: "내 노후를 위해 미리 떼어 놓는 돈이에요. 월급의 4.5%를 내지만, 회사도 똑같이 4.5%를 내줍니다."
- 건강보험: "아플 때 병원비 지원을 위한 보험료로, 월급의 3.545%를 내요."
- 장기요양보험료: "노인복지 서비스 비용으로 건강보험료의 12.81%를 추가로 떼 갑니다."
- 고용보험: "실직 시 받을 실업급여를 위한 비용으로, 월급의 0.9%만 차감됩니다."
- 소득세와 지방소득세: "소득세는 수입에 따라 누진세율로 계산되고,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%를 추가로 납부해야 해요."
마무리
"실수령액은 단순히 숫자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, 내가 앞으로 얼마나 계획적으로 돈을 쓸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. 계산기를 활용해 자신의 월급을 정확히 이해해 보세요!"
2024.12.28 - [유용한 정보] - 2024년 연말정산 필수 준비사항과 팁: 세금 환급을 놓치지 마세요
2024년 연말정산 필수 준비사항과 팁: 세금 환급을 놓치지 마세요
연말정산은 매년 한 해 동안 납부한 세금을 정산하여 과도하게 납부한 세금을 환급받거나, 부족한 세금을 추가로 납부하는 과정입니다. 주로 직장인들이 많이 하는 세무 절차로, 1년 동안 소득
dalamjui.tistory.com
2024.12.27 - [유용한 정보] - 직장인 대출, 어떻게 신청할까? 대출 한도와 금리까지 한 번에 알아보자
직장인 대출, 어떻게 신청할까? 대출 한도와 금리까지 한 번에 알아보자
직장인 대출에 대한 상세한 설명직장인 대출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대출 상품으로,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입원이 있다는 점에서 대출 심사가 유리하게 진행됩니다. 직
dalamjui.tistory.com
2025.01.10 - [유용한 정보] - 2025년 국내 코인 거래소 추천 TOP 5: 수수료, 혜택, 사용자 리뷰 총정리
2025년 국내 코인 거래소 추천 TOP 5: 수수료, 혜택, 사용자 리뷰 총정리
국내 코인거래소 TOP 5: 암호화폐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, 안전하고 효율적인 국내 TOP 5 코인 거래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각 거래소의 특징, 수수료, 이벤트, 사용자 수를 비교하고, 초보
dalamjui.tistory.com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방법 지급일 금액 2025년 신청기간 한눈에! (0) | 2025.01.12 |
---|---|
온누리상품권 사용처 10%, 15%, 30% 할인 이벤트 꿀팁 공개! (0) | 2025.01.12 |
해외 코인거래소 추천 TOP 5: 수수료, 혜택, 사용법 총정리 (0) | 2025.01.10 |
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란?(hMPV): 증상, 전파 경로, 그리고 예방 방법 (0) | 2025.01.10 |
hMPV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: 중국 발생 현황과 주요 증상 (0) | 2025.01.10 |